병들어가는 우리대학 바다
병들어가는 우리대학 바다
  • 박시영 기자
  • 승인 2022.11.03 00: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플라스틱 섬의 존재

_1997년 하와이, 요트 대회에 참가한 찰스 무어는 북태평양 한 가운데에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섬을 발견했다. 이때부터 플라스틱 섬의 존재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고 이들의 존재는 인공위성에서 확인될 정도로 큰 크기이며 현재는 북태평양 뿐만 아니라 북대서양, 남대서양, 남태평양, 인도양 등 전 지구적으로 쓰레기 섬이 발견되고 있다. 이 플라스틱 섬은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라고도 불린다. 현재 우리나라 제주도의 상황도 이와 다르지 않다. 지난 9, 해양쓰레기 수거 단체인 디프다 제주가 수거 활동을 진행했는데 이날 수거된 쓰레기만 폐목재 다수와 40리터 포대 65, 80리터 포대 5개 분량이었다고 한다.

 

 

사진1. ▲ 우리대학 앞 바다 쓰레기 사진 <사진=신형서 기자>
▲ 우리대학 앞 바다 쓰레기 사진 <사진=신형서 기자>

 

우리대학 앞 바다는?

_현재 우리대학 앞 바다도 해양오염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 학교 앞 방파제와 아치나루터에는 페트병, 비닐봉지, 스티로폼 등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들이 가득하며, 악취 또한 심각했다

 

_아치노을길에서 승선생활관까지 걸어가는 길 오른편에 있는 넓은 바다 역시 마찬가지다. 가까이서 보면 플라스틱, 페트병 등 둥둥 떠다니는 쓰레기가 발견된다. 실제로 요트 동아리 활동을 하는 기관시스템공학부 1학년 B학우는 요트 활동 중 바다에 쓰레기가 너무 많아 쓰레기를 주우면서 요트를 탔다그는 “쓰레기가 보이면 기분이 안 좋아서 직접 쓰레기를 주울 수밖에 없다 고충을 털어놨다. 주기적으로 쓰레기 모니터링을 하는 채 교수 역시 해양쓰레기가 모여있는 모습을 자주 포착한다고 말했다.

 

사진2. ▲ 우리대학 앞 바다에 기름이 부유하는 사진 <사진=신형서 기자>
▲ 우리대학 앞 바다에 기름이 부유하는 사진 <사진=신형서 기자>

 

학교 주변을 떠다니는 쓰레기, 그 원인은?

_그렇다면 이러한 해양쓰레기의 원인은 무엇일까? 아치나루터를 자주 이용하는 한 학우는 쓰레기 무단투기를 하나의 원인으로 꼽았다. 바다에 쓰레기를 버리는 학생들을 종종 목격한다는 것이다. 또한 태풍 이후 학교 주변에서 많이 발견되는 해양쓰레기에 관해 환경공학과 채규정 교수는 “바람이 많이 불었거나 태풍이 왔을 때 또는 조수 간만의 차이가 급격하게 변했을 때 보이지 않던 쓰레기들이 보이게 된다승선생활관 앞 해수천에서 무력 흐름의 순환이 정체되기 때문에 그 구역에 쓰레기가 부유하다가 계속 모이게 된다고 설명했다.

 

해양쓰레기의 심각성

_해양쓰레기로 인한 해양오염은 해양생물과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준다. 한국환경생물학회 저널에 따르면오염된 바다는 해양생물의 성장과 발달, 번식과 사망 등에 영향을 미친다. 뿐만 아니라 해양 생물의 몸에 흡수된 유해물질들은 다시 우리 인간에게도 돌아오게 된다. 해양생태계를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꼽히는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제품으로부터 분해되어 인체에 다양한 방식으로 노출된다. 대표적인 경로로 해산물, 식용, 소금, 물의 섭취가 있다. 미세 플라스틱은 사람들 뿐만 아니라 해양생물에게도 치명적이며 미세플라스틱의 독성이 우리의 건강까지 위협하는 것이다.

 

바다를 지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_채 교수는 개인의 실천방안으로 쓰레기 버리지 않기, 일회용품을 줄이는 등 윤리적 소비하기, 플라스틱컵을 대체할 수 있는 텀블러 쓰기를 권장했다. 이어 "한 개인이 버리는 쓰레기의 양은 굉장히 작아보일 수 있지만 환경은 쉽게 오염된다. 환경 보전을 위해 우리는 정말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며 그 필요성을 강조했다.

_그밖에 정화활동을 진행하거나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우리대학에서는 매년 12월이면 오픈워터 자격증을 가진 해양스포츠과학과 학우들이 바다 속에서 정화활동을 진행한다. 12명의 인원이 2시간 가량 활동을 한번 하면 나오는 쓰레기의 양은 마루포대 4~5대 정도. 이에 대해 해양스포츠과학과 3학년 C학우는 밖에서 버려지고, 학교 인근 낚시터에서 생겨난 쓰레기라 매년 비슷한 양의 쓰레기가 나오는 것 같다매년 해야될 것 같다"고 말했다.

_우리대학 바다가 위험하다. 이제는 바다를 위해 우리가 행동을 시작해야할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환경생물학회 [미세플라스틱의 해양 생태계에 대한 영향과 향후 연구 방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