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녹음 현상이란?
갯녹음 현상이란?
  • 한기환
  • 승인 2022.11.22 18: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갯녹음 현상

갯녹음 현상이란?

38기 한기환

갯녹음 현상은 무엇일까?

  바다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다. 그중에서도 바다 밑의 큰 바닷말(다시마 등 해조류)이나 해초류 (잘피 등 종자식물류)가 뭉쳐 있는 바다숲이 있다. 이 바다숲은 어린 물고기(=치어)들에게 피난처가 되어주기도 하고, 알을 낳을 수 있는 산란장이 되어주기도 하며, 먹이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최근 가장 떠오르는 이슈! 지구온난화의 원인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줄여주기도 한다. 특히 바다에서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를 블루카본이라고 한다. 블루카본은 흔히 그린카본이라고 불리는 기존의 우리가 알고 있는 숲과 비교하였을 경우, 50배에 달하는 우수한 저장 능력과 빠른 흡수 능력이 있다. 그래서 현재 블루카본이 미래 이산화탄소의 비중을 줄이는 것에 대안이 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갯녹음 현상이 증가함에 따라 바다숲이 사라지고 있다.

ⓒ Wikimedia Commons
ⓒ Wikimedia Commons

 갯녹음 현상이란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탄산칼슘이 석출되어 해저 생물이나 해저의 바닥, 바위 등에 하얗게 달라붙는 현상으로, 탄산칼슘이 바닥 면이나 바위 등에 하얗게 달라붙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바다를 사막화시키고, 탄산칼슘 산성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해양 산성화 현상까지 발생시킬 수 있다. 그렇게 된다면 결국 바다는 아무도 살지 않는 죽음의 땅이 되어버린다.

 

ⓒ Wikimedia Commons
ⓒ Wikimedia Commons

갯녹음 현상의 역사?

  기존의 지구에서 바다가 생성된 이후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탄산칼슘의 형태는 자연 상태의 석회석이 물에 녹은 중탄산칼슘이 전부였다. 하지만 인류사의 발전, 산업혁명 등 인간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사람이 인공적으로 만든 광물인 생석회가 섞인 수산화칼슘이 바다에 유입되게 되었고, 바다가 수용할 수 있는 탄산칼슘이 과포화 상태에 이루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석회 가루가 녹지 않고 석출되면서 갯녹음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첫 갯녹음 현상이 발생한 시기는 1970년대로, 본격적인 연안 개발이 진행되면서 발생한 갯녹음 현상은 이후 점점 발생지역을 넓혀나갔으며, 1990년대 말부터는 제주도에서 남해안과 동해안 전 해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우리나라 해역 중에서 갯녹음 현상이 가장 심각하게 발생하고 나타나고 있는 곳으로, 방파제 공사 등 잦은 연안 개발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 증가로 발생한 탄산칼슘이 큰 원인이다. 게다가 제주 지형의 특성상 제주 연안은 화산암반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녹아 나온 탄산칼슘이 달라붙기 쉬우며, 이로 인해서 바닷속 사막화 현상의 속도가 급격하게 빠르게 진행되었다. 국내뿐만 아니라,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일본, 미국, 캐나다, 호주,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 모든 인간의 활동과 연결된 연안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 Pixabay
ⓒ Pixabay

갯녹음 현상의 발생 원인은?

 갯녹음 현상의 발생 원인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첫 번째로 인간의 개발에 있다. 콘크리트 공사 시 시멘트 안에 들어 있는 석회석이 직접 유입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예를 들어 항구나 부두 조성을 위해 연안을 개발하면서 대규모의 시멘트가 직접적으로 탄산칼슘의 용해도를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 두 번째는 바다로 유입되는 생석회이다. 농사 등에 쓰인 흙은 화학비료로 인해 산성화되었기 때문에 이를 중화시키기 위해 생석회를 사용한다. 그러나 빗물이나 홍수 등으로 흙에 섞인 생석회가 수산화칼슘 형태로 바뀌고 이것이 그대로 바다로 유입되면서 갯녹음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이 된다.

 마지막으로 최근 가장 심각한 문제. 바로 지구온난화! 지구온난화로 인한 바닷물의 온도 상승 또한 갯녹음 현상의 원인이다. 탄산칼슘은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물에만 융해되는 물질로, 수온이 낮을수록 물에 더 잘 녹아드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수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이산화탄소 용해도가 낮아져 동시에 탄산칼슘의 석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 Pixabay
ⓒ Pixabay

갯녹음 현상 예방 대책은 있을까?

 갯녹음 현상은 연안 생태계 파괴, 수산자원 고갈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해조류를 먹이로 하는 바다 생물의 감소로까지 이어져 종의 다양성 균형도 무너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재 해양수산부와 한국수산자원공단에서 갯녹음 현상을 알리고 해양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첫 번째는 매년 510일을 바다식목일로 지정하고 있다. 바다식목일은 해양수산부에서 제정한 날로, 육지에서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서 나무를 심듯이 갯녹음 현상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닷속에도 나무를 심는 것이다. 이는 전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로 국민들에게 해양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여러 바다숲 조성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갯녹음이 발생한 연안 해역에 해조류를 이식하거나 포자 방출을 유도하여 바다숲이 만들어질 수 있는 기반을 다지고 있다. 바다숲 조성한 지역에서 갯녹음 현상으로 인해 사막화된 해적 지역에서는 떠나갔던 바다 생물들도 다시 나타나기 시작 했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소라, 전복, 성게와 같은 해조류를 먹이로 삼는 조식동물들의 개체 수 관리의 필요성이다. 이는 독도 연안에서 발생한 갯녹음 현상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독도 연안에서 알 수 없는 갯녹음 현상이 다량으로 발생하였는데, 원인을 조사한 결과 성게의 개체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 원인이 되었다. 조사를 통해 해양수산부, 한국수산자원공단, 해양환경공단에서 2015년부터 성게 제거 작업을 시작하여, 현재는 다시 아름다운 바다의 독도가 만들어지고 있다.

ⓒ Pixabay
ⓒ Pixabay

   바다의 사막화 현상! 갯녹음 현상 이제부터 우리가 함께 알아가고, 많은 관심을 가져 나가야 할 때입니다.

  깨끗하고 풍요로운 어장이 되는 그날까지

우리 함께 아름다운 바다를 가꾸어 나가요!

 

한바다 교지 편집국 : 38기 한기환

ckdqjarhrh@g.kmou.ac.kr

참고 자료

1. 갯녹음 현상, 네이버 백과

2. 차근호 기자,[바다 사막화] () 우리 바다 암반 33% 해조류 사라진 사막화 현상,

<연합뉴스>, 2022.05.07.

3. 임민수 기자, 국가 온실가스 통계에 블루카본공식 반영, <에코타임스>, 2022.11.07.

4. 김경아 기자,청정해역 독도 주변, 해양생태계를 지킨다, <K 스프릿>, 2021.08.30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